top of page

블로그 게시글

어깨통증의 원인? 사각근 압통점 활성화 요인?

  • Writer: cbklove0416
    cbklove0416
  • Jun 14, 2023
  • 1 min read

Updated: Jun 15, 2023

안녕하세요~


오늘은 목갈비근(사각근, scaleni)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목갈비근(사각근, scaleni) 근육 및 작용


정지부를 고정하고 한쪽만 수축하면

경추의 측굴운동, 실제로는 경사지게 전굴과

측굴운동을 하고 양쪽을 수축하면

경추의 전굴운동을 하게 된다.

- 뒤목갈비근(후사각근, scalenus posterior) :

목의 기저부 neck base를 고정시켜

측굴운동이 안정되도록 한다.

- 기시부를 고정하면 흉쇄유돌근과

더불어 흡기운동을 보조.


■ 목갈비근(사각근, scaleni) 문제 시 증상


- 어깨와 상지의 통증의 원인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표재성 통증이다.

​- 방사통의 경로가 비슷한 극하근

infraspinatus의 경우는 심부통이다.

- 앞 쪽으로는 가슴으로, 옆으로는 상지 쪽,

뒷 쪽으로는 견갑골 내측연과 부근의 견갑골 사이로

방사통이 확산된다.

- 중사각근 scalenus medius의 하부와

후사각근 scalenus posterior :

전흉부 pectoral region로 손가락 모양으로

뻗어 내려가 유두 부근까지 방사된다.

- 전사각근 scalenus anterior의 상부와 중사각근

scalenus medius : 상완이두근과 상완삼두근 위를

지나 상지의 앞뒤로 방사하여 엄지와 시지로 방사,

단 주관정 부위는 방사되지 않는다.

- 전사각근 scalenus anterior : 뒷쪽으로 견갑골

내측연의 상1/2와 견갑골 주변으로 방사한다.

- 환자가 견갑골의 상각 superior angle 내측의

상배부의 통증을 호소하면 사각근압톡 scalenus

trigger point을 가장 의심해 볼 수 있다.

- 통증이 심해서 잠을 설칠 정도이다.

- 견갑거근 levator scapulae나 경판상근

plenius cervicis의 경우와는 달리

목의 운동 제한은 미미하다.

- 저린감 혹은 찌릿찌릿한 신경학적인 증상

neurologic symptoms of numbness and

tingling sensation이 나타나기도 한다.

- 자기도 모르게 잡고 있던 물건을 놓치기도 한다.

- 손의 부종이 손목 이하의 손과 손가락 기저부의 배부에 나타난다.

■ 목갈비근(사각근, scaleni)의 압통점 활성화 요인


- 물건의 잡아당겨 들어 올릴 때

- 천식이나 만성폐색성폐질환에서와 같이 숨을

가쁘게 쉬거나 발작적인 기침을 할 때

- 머리와 목이 낮아진 위치로 수면의 취할 때

- 몸의 전체 골격이 비뚫어져서 어깨가 경사져 있을 때

- awkward leaning position

- 흉쇄유돌근의 압통점의 이차적인 결과

- 견갑거근 leavor scapulae의 압통점으로 인한

경부강직 stiff neck의 결과


목갈비근(사각근, scaleni)에 대해서 더 자세하게 알고 싶다면

▼ 클릭▼

☎ 카톡문의 : 2021seedcare

☎ 전화문의 : 0507.1349.0027

Комментарии


Copyright ⓒ 씨앗케어 재활교정센터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