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근개 근육 : 어깨밑근(견갑하근,subscapularis)의 기능해부학 및 증상, 압통점 활성화요인
- cbklove0416
- Jun 27, 2023
- 1 min read
안녕하세요!
입니다 :)
오늘은 회전근개를 이루는 근육 중
하나인 어깨밑근(견갑하근,
subscapulari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근육은 각종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위치이며,
해당 근육이 문제가 있을 경우 실생활에 많은 불편함을 초래합니다.

견갑하근의 위치
견갑하근의 이는곳 (기시, Origin)
어깨뼈(어깨밑근오목과 겨드랑모서리의 홈)
큰원근과 위팔세갈래근으로부터 이 근육을 분리하는 널힘줄(긴머리)
힘줄판
견갑하근의 닿는곳 (정지, Insertion)
위팔뼈(작은결절)
위팔어깨관절의 삭(앞쪽)
견갑하근의 기능(작용, Function, Action)
어깨관절의 안쪽돌림, 모음
위팔뼈를 내림으로써 위팔어깨관절을 안정시킴 (위팔머리를 유지)
견갑하근의 신경지배(Nerve)
C5~C6 어깨밑신경 (위와 아래)
견갑하근의 문제 발생 시 증상
초기에는 팔을 올리거나 앞으로 뻗을 수는 있으나 공을 던질 때와 같이 어깨 높이에서 팔의 바깥돌림 (외회전, external rotation)이 잘 안됩니다.
점점 심하게 되면 팔은 45도 이하로 심하게 벌림(외전, abduction)이 제한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환자는 안정 시나 운동 시 심하게 통증을 호소하게 되고 반대편 팔쪽으로 닿게 할 수 없습니다.
팔목에 대해서 환자에게 물어보면 팔목에 띠를 두른 것같은 통증을 호소하게 되고 특히 팔목의 배부 쪽이 더욱 심합니다.
편마비환자(hemipegic patient) 어깨통증의 주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위팔뼈머리(상완골두)의 아탈구를 야기 할 수도 있습니다.
방사통의 기본적인 위치는 어깨의 후면부에 위치하고 어깨뼈(견갑골)의 후면부를 뒤덮고 팔의 후면부로 내려가 팔꿉관절(주관절)까지 갑니다.
중요한 진단점은 방사통이 띠같이 팔목을 두르고 있으며 팔목에 압통이 있으며 팔목의 배부 쪽이 더 심합니다.
심한 통증이 있을때보다는 빠르게 치료하는게 중요합니다.
방사통이 팔꿈치의 관절까지 가지 않도록 주의해야해요.
견갑하근의 압통점 활성화 요인
환자의 힘에 무리하게 반복적으로 안쪽돌림(내회전, Internal rotation) 운동을 할 때
수영에서의 자맥질 crawl, 야구에서의 투구
강하게 벌림을 반복하여 머리위로 들어올릴 때
어깨 높이에서 갑자기 뒷쪽으로 팔을 뻗어 무리하게 힘이 갔을 때
어깨의 탈구로 근육에 무리가 갔을 때
상부상완골의 골절이나 관절낭의 파열
어깨가 모음(내전, adduction), 안쪽돌림 상태로 오랫동안 움직이지 못 할 때 (Immobilization)
물론 반복적인 활동도 있지만 강한 운동에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모든 통증은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발생 후 잘 관리해주어 더 악화시키지 않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
Komentář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