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블로그 게시글

위팔세갈래근(상완삼두근)의 기시,정지,신경,기능,근육단위,약화?구축?문제시증상?압통점활성화요인?

  • Writer: cbklove0416
    cbklove0416
  • Jun 15, 2023
  • 2 min read

안녕하세요!


입니다 :)



전 물리치료사 출신 대표로

1:1 전문 운동센터 입니다 :)


100% 예약제로 프라이빗한 센터 입니다!


체형교정 l 재활운동 l 통증케어 l 성장운동

원하시는 분은 언제든 연락주세요!


피트릭스 체형분석 l 슬링운동 l

번지피지오 l 소도구

등을 통해 건강한 생활을 보장합니다!


☎ 카톡문의 : 2021seedcare

☎ 전화문의 : 0507.1349.0027

☞ 홈페이지문의 : https://cbklove0416.wixsite.com/seedcare/sign_up


오늘은 위팔세갈래근(상완삼두근,

Triceps brachii)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이는곳 (기시, Origin)


긴머리(장두, long head) : 어깨뼈

(어깨오목아래 결절), 위팔어깨관절의 주머니 위


가쪽머리(외측두, lateral head) :

위팔뼈 (몸통;뒷면의 사선 능선), 가쪽 근육사이막


안쪽머리(내측두, medial head) :

위팔뼈(몸통:노뼈 뒷면 먼쪽 전체부터 거의 위팔뼈

도르래까지), 안쪽과 가쪽 근육사이막,


위팔뼈(안쪽가장자리)


■ 닿는곳(정지, Insertion)


세 개의 머리는 한 힘줄에서 합침


자뼈(팔꿈치머리돌기, 뒷면 몸쪽)


아래팔근막


팔꿈치관절의 주머니


■ 신경지배 (Nerve)


C6~C8 노신경 (앞가지)


■ 기능(작용, Function, Action)​


팔꿈치의 폄


긴머리와 가쪽머리 : 폄에 대항할 때

특히 활동적이고 그렇지 않으면 최소 활동합니다.


긴머리 : 어깨의 모음과 폄(보조)


긴머리의 관절와상완관절(견관절,

glenohumeral joint)에 대한 작용 :

팔을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는 위팔뼈머리(상완골두,

humeral head)를 어깨뼈봉우리돌기(견봉돌기,

acromial process) 쪽으로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고

90˚로 벌림(외전,abduction) 시킨 상태에서는

어깨관절오목(견관절와, glenoid cavity) 쪽으로

위팔뼈머리(상완골두, humeral head)를

잡아당깁니다.


위팔세갈래근의 긴머리와 큰가슴근(대흉근,

pectoralis major), 넓은등근(광배근,latissimus

dorsi) 모두가 팔을 강하게 모음(내전, adduction)

시키지만 긴머리는 다른 두 근육과는 달리

위팔세갈래근의 긴머리는 모음 시 위팔뼈머리를

관절오목 아래로 잡아당깁니다.


중립위에서 수축하면 긴머리는 어깨뼈(견갑골,

scapulae)의 회전 없이 위팔뼈를 어깨뼈 쪽으로

잡아 당기지만 큰원근(대원근, teres major)은

팔을 움직이지 않고 위팔뼈의 아래각(하각,

inferior angle)을 위팔뼈 쪽으로 회전시킵니다.


가쪽머리 : 펴는 모든 동작시에 활동


■ 근육기능단위


긴머리 : 넓은등근, 큰원근, 작은원근(소원근,

Teres minor)과 함께 어깨를 모음 시키고

위팔두갈래근(상완이두근, biceps brachii)과

위팔근(상완근, brachialis)는 팔꿉관절(주관절,

elbow joint) 굽힘운동(굴곡운동)의

길항근(antagonist)이 됩니다.


■ 근육의 약화


중력에 반하여 아래팔(전완, fore arm)을

폄(신전, extension)하기가 힘들어집니다.


일상생활 중에 선반 위로 팔을 뻗히는 등의

동작이 어려워집니다.


팔꿈치를 폄시킨 상태로 물건을 던진다든지

미는 것이 어려워집니다.


목발을 짚고 다니는 것이 힘들어집니다..


■ 근육의 구축


팔꿈치의 굽힘이 어려워집니다.


■ 위팔세갈래근(상완삼두근, Triceps brachii)의

문제 시 증상


위치가 불분명한 막연한 통증이

어깨와 위팔의 후면부에 나타납니다.


팔꿉관절을 약간 굽힘시키고 안쪽위관절융기

glenohumeral joint)에 대한 작용 : 팔을 아래로

피하기 위하여 위팔뼈를 약간 벌림하는 경향은

있지만 대부분 환자 자신은

운동장애를 느끼지 못합니다.


통증은 팔꿈치를 강하게 폄시킬 필요가 있는

동작에서 주로 나타나는 데 오른쪽은 주로 테니스를

할 때, 왼쪽은 주로 골프를 할 때 통증이 나타납니다.


■ 압통점활성화요인


목발이나 지팡이를 너무 사용 하여 근육에 무리가 갔을 때


테니스의 백스트로크 때 공을 헛칠 때


너무 열심히 골프 연습을 했다든지 팔굽혀펴기를 하였을 때


팔꿈치에 아무런 지지물 없이 가슴이나 배 높이에 팔꿈치를 너무 오랫 동안 들고 있는 경우 (ex: 장시간 운전, 기록, 자수 등)




▶ 압통점의 활성화를 막기 위해서는 압통점의 압력을 줄여주고, 스트레칭, 근육에 과부하가 걸리는 활동을 피하거나 자세교정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Comments


Copyright ⓒ 씨앗케어 재활교정센터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